Jiwon

Jiwon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만큼은 누구보다 집중력과 열정이 넘쳐납니다. 다양한 악성코드를 분석하여 위협 요소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공간에서 제가 마주한 흥미로운 사례들과 기술적인 인사이트를 재미있게 풀어가려고 합니다.

신규 유행 교통정보센터 사칭 악성 앱 분석

신규 유행 교통정보센터 사칭 악성 앱 분석

최근 발견된 ‘교통정보센터’ 사칭 악성 앱은 설치 직후 ‘조회하기’ 버튼 클릭만으로 실제 정부 공식 사이트(예: 환경부, 정부24 등)로 즉시 리디렉션되어, 사용자가 별다른 의심 없이 정상 서비스로 오인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이 악성 앱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압축 패스워드 트릭 분석

압축 패스워드 트릭 분석

이상한 APK 파일의 등장

여느 때와 같이 수집한 APK 파일의 내부를 살펴보기 위해 압축해제를 시도했습니다. 그런데,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나타났습니다.

신규 유형 WEX 앱 분석

신규 유형 WEX 앱 분석

최근 신규 유형의 악성 앱 WEX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 악성 앱은 사용자에게 접근성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유도합니다. 접근성 서비스가 허용되면 기기정보, 설치된 앱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외부로 유출합니다. 또한, 특정 조건에 따라 SMS 권한이나 전화 권한이 자동으로 허용되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SMS 내용, USSD 코드 실행 결과 등의 정보도 외부 유출지 서버로 전송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WEX 악성 앱의 주요 악성 행위와 특징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